Windows 7 64bit /32 bit 성능 최적화 1탄! administrator 계정으로 사용하기!
해킹 등의 위협이 예전 windows xp 쓰던 시절에 비하면 더욱 늘어남으로써 우리가 쓰는 OS역시 그에 걸맞게 발전하였죠. 사실 권장설정이 괜히 권장설정은 아닙니다. administrator의 계정은 해킹등의 보안 위협에 노출이 큰 편이므로 개인적인 로그인 ID를 사용하고, 비밀번호는 특수문자까지 사용하여 보안을 강화한 후 시작 -실행 에다가 netplwiz 의 명령어로 자동로그인 설정하는 방법이 사실 Administrator의 계정으로 사용하는 것 보다는 안전하므로 추천합니다.
다만 pc에 별 내용이 없다거나 해킹따위는 무섭지 않으시다면 아래와 같이 설정하시는 것이 성능과 편의 면에서는 더욱 좋을 수 있겠죠. 그럼 자세히 살펴볼까요~
1) Administrator 계정으로 사용하기
① 시작 → 모든 프로그램 → 보조 프로그램 → 명령 프롬프트 에서 마우스 우 클릭한 후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을 클릭합니다.
② 명령 프롬프트가 나오면 아래의 명령어를 입력합니다.
net user administrator /active:yes
③ 완료 후 재부팅을 하게 되면 Administrator 계정으로 사용 할 수 있게 됩니다.
2) 사용자 계정 컨트롤(UAC) 조정
비스타 쓰던 시절에 제일 맘에 안들던 부분이 UAC였을 겁니다. 귀찮지만 어쩔 수 없는 것이었기에 그냥 쓰거나, 아니면 귀찮은 방법을 동원해 아예 기능을 꺼버리는 방법이 있었습니다. 하지만 윈도우7 에서는 이 UAC기능의 수위를 조절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① 시작 → 제어판 → 사용자 계정 및 가족 보호 → 사용자 계정 → 사용자 계정 컨트롤 설정 변경을 클릭합니다.
② 알림 조건을 끔으로 바꿉니다..
3. 윈도우 7 최적화 - 시스템
1) 색인 기능 끄기
요즘처럼 SSD가 많이 보급된 시기에는 더더욱, 그전에도 물론 똑같이 계륵같은 Indexing기능이였지만...
끄고 싶으실 거에요 아래와 같이 해봅시다.
① 탐색기를 실행 한 후 로컬 드라이브(C, D)에서 속성 창을 불러옵니다.
② ‘이 드라이브의 파일 속성 및 내용 색인 허용’을 체크 해제한 후 ‘확인’버튼을 클릭합니다.
③ 검색 서비스종료를 위해 컴퓨터 관리 창을 불러옵니다.(시작 → 내 컴퓨터에서 우 클릭 한 후 ‘관리’ 선택)
④ 왼쪽 메뉴에서 ‘서비스 및 응용프로그램 → 서비스’를 선택한 후 오른쪽 화면에서 ‘Windows Search’ 항목을 더블클릭합니다.
⑤ 속성창이 나오면 시작유형을 ‘사용 안 함’으로 선택하고 ‘중지’ 버튼을 클릭하여 서비스를 중지합니다.
⑥ 만약 위 설정을 했는데도 계속 하드디스크를 엑세스 한다면 ‘Peer Name Resolution’ 서비스도 중지해 주면 됩니다.
net user administrator /active:yes